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내년 2024년 최저임금 시급 월급 2.5% 인상 연봉실수령액 계산

by 김판우 2023. 7. 19.
반응형

1) 2024년 최저임금 2.5% 인상

달러
달러

내년 2024년의 최저임금이 발표되었습니다. 

시급은 9,860원, 월급(209시간 기준)은 2,060,74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올해 2023년 시급 9,620원, 월급 2,010,580원보다 2.5% 높은 금액으로 인상되었는데

이는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인상률이라고 합니다.

 

최저생계비,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하여 시급을 12,000원까지 올려야 한다는 주장을 하였었는데

많은 폭의 인상은 진행되지 않은 모습입니다.

 

최근 5년간 최저임금의 전년 대비 인상률은 2019년 8,350원(10.9%), 2020년 8,590원(2.87%), 2021년 8,720원(1.5%), 2022년 9,160원(5.05%), 2023년 9,620원(5.0%)입니다.

 

2024년에 적용될 4대 보험 공제율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국민연금 : 9%의 절반 4.5% 적용
  • 건강보험료 : 7.09%의 절반 3.545% 적용
  • 장기요양 : 0.9082%의 절반 0.4541% 적용
  • 고용보험료 : 0.9% 적용

2) 2024년 연봉실수령액표

많은 분들이 가장 많이 궁금해하시는 연봉의 실수령액을 표로 정리해 봤습니다.

2024년 공제율을 적용하고, 간이세액을 적용한 소득세를 뺀 실제 수령액을 계산한 연봉실수령액표입니다.

2023년과 건강보험, 국민연금 공제율이 변하지 않아 동일하게 계산되었습니다.

  • 실수령액은 부양가족 1인 기준
  • 국민연금의 기준소득월액의 상한액이 553만 원에서 590만 원으로 인상
  • 이에 따라 국민연금 최대 상한액은 265,000원
  • 1억 연봉자의 경우 실수령액 약 647만 원

세전 월급계산은 아래의 표를 확인하면 됩니다.(기업의 상황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

2024년 연봉실수령액
2024년 연봉실수령액


반응형

3) 월 천만 원 벌려면 연봉은 얼마?

월천만원-연봉계산기
연봉계산

흔히들 말하는 월 천만 원을 벌려면 연봉을 얼마나 받아야 할까요?

위 계산기대로 계산해 보니 연봉을 약 1억 7천만 원 정도 벌어야 월에 1,000만 원씩 벌 수 있습니다.

전문직 또는 기업의 임원급에 가까워야 받을 수 있는 돈이라 생각되네요.


4) 종합소득세율

위에서 계산해 봤듯이 연봉이 늘어도 소득이 크게 늘지 않아 보이는 이유는 바로 세금 때문이죠.

소득에 따라 세금의 %가 다르기 때문에 그런 것인데요. 소득이 많아질수록 세금을 내는 비율이 높아져 그런 것입니다.

 

2023년 귀속 종합소득세율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액
1,200만 원 이하 6% 6만원
1,200~5,000만 원 이하 15% 108만원
5,000~8,800만 원 이하 24% 522만원
8,800~1억5천만 원 이하 35% 1,490만원
1억5천만~3억원 38% 1,940만원
3억~5억원 이하 40% 2,540만원
5억~10억원 이하 42% 3,540만원
10억원 초과 45% 6,540만원

앞서 봤던 월 천만 원을 벌려면 연봉이 1억 7천만 원이 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가 소득의 38%를 세금으로 내야 하기 때문인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돈을 많이 벌 수 록 절세에 중요성을 깨닫고 목매게 되는 것 같습니다.

현금을 사용할 땐 현금영수증, 사업자의 경우 지출증빙은 필수입니다.


5) 사업자 절세 방법?

개인사업자의 경우 사업에서 얻게 되는 수익이 개인의 소득이 되기 때문에 많은 돈을 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세표준에 따라 소득이 크면 그만큼 내는 세율이 높아 내야 할 세금이 많아져 이를 줄일 방법을 찾게 되는데요.

 

이때 보통 법인사업자로의 전환을 생각하게 됩니다. 법인을 세워 법인 대표가 되어 월급만 받는 것이죠.

법인으로 수입을 얻게 되면 법인세를 내야 하는데 소득세에 비해 법인세는 매우 큰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과세표준 법인세율 누진공제
2억원 이하 10% -
2억원 초과~2백억원 이하 20% 2,000만원
2백억원~3천억원 이하  22% 4억 2,000만원
3천억원 초과 25% 94억 2,000만원

만약 위에서 계산했던 월 천만 원을 벌기 위한 1억 7천만 원을 법인을 통해 벌었다고 가정하면 법인은 10%의 세율만 부담하면 됩니다. 이런 세금 절감의 이유로 사람들이 법인을 선호하는 것입니다.

 

물론 무조건 법인사업자가 좋은 것은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월급 외에 소득은 개인의 소유가 아닌 법인의 것이기 때문에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으며 월급을 높게 측정한다면 마찬가지로 개인의 소득으로 소득세를 내고, 4대 보험, 종소세 등을 납부해야 합니다.

 

배당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15.4%의 세금을 내야 하고, 법인세, 부가세, 배당세 등 법인사업자가 부담해야 할 세금들도 많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매출이 커지고 수익이 많아진다면 개인사업자보단 법인사업자로 전환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고 합니다.


2024년 최저임금, 최저시급, 월급, 연봉계산까지 해보았는데 소득이 적을 땐 많은 소득을 벌고 싶고 소득이 많아지면 쓸데없는 지출과 세금을 절감하고 싶고 돈을 버는 일은 정말 끝이 없는 것 같습니다.

 

최근엔 많은 분들이 직장에서 받는 월급 외에 부업을 통해 자신의 소득을 높이고 계시는데요.

모두 다 파이팅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