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계발이론
개념
계발이론:대중 매체의 현실구성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
계발(=배양효과 : cultivation):사람들이 TV에 많이 노출되면 될수록 TV에서 제시하는 것과 유사한 현실인식, 가치관, 세계관을 가지게 되는 것
전제
- TV는 미국 사회의 가장 중심적인 문화무기임
- TV는 많은 시간 동안 다양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가족의 주요 구성원이 되었음
- 4시간 이상의 중시청자는 TV를 통해 지식, 정보, 기타 의식의 원천들을 포섭당함
- 동일 메시지에 대한 노출은 계발 효과를 가지거나 보편적 세계관·가치관을 생산함
1) 계발이론
거브너의 폭력 효과 연구
TV 프로그램의 폭력지수
- 폭력 일반성 측정
- 폭력적 에피소드들의 빈도와 비율
- 폭력자와 희생자 배역을 맡고 있는 인물의 수
▶폭력물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수용자 조사 질문
1) 계발이론
거브너의 폭력 효과 연구
▶연구결과
- 각각의 질문에 대한 응답은 TV에서 마찬가지로 실제와 매우 다른 비율을 보임
- 중시청자와 경시청자가 서로 다른 전형적인 대답을 하는 경향이 나타남
미국 내 발생 폭력범죄 10% | TV에서 나오는 폭력범죄 77% |
1) 계발이론
거브너의 폭력 효과 연구
조지 거브너(George Gerbner)
폭력행동의 잦은 묘사는 시청자들에게 실세계의 폭력발생에 대해 과대평가하게 만든다.
▼
매스미디어가 사람들에게 왜곡된 심상을 자라게 하여 공중의 마음에 잘못된 이미지나 인상을 배양시킴
▼
매스미디어의 배양효과(cultivating influence)라고 명명함
▼
중시청자의 마음 속에 실제 세상의 모습이 아닌 TV에서 보이는 세상의 모습이 배양되어, 사악한 세계관(mean world view)을 갖게 된다.
1) 계발이론
- 사람들의 인식, 태도, 가치에 대해 TV 시청이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음
- 초기연구는 TV 중시청자와 경시청자의 비교에 기반함
중시청자
·종종 TV에서 묘사되는 세계에 근접한 대답을 했음
·경시청자들보다 TV에서 묘사되는 수치보다 높게 추정하는 경향이 있었음
1) 계발이론
장점과 단점
장점
- 거시적인 이론과 미시적인 이론을 결합함
- TV만의 독특한 역할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함
- 실증적 연구를 광범위한 인본적 가정에 적용함
- 효과라는 개념을 관찰 가능한 행동 변화 이상으로 재정의함
- 광범위한 효과 이슈에 이론을 적용함
- 사회 변화에 대한 근거를 제공함
단점
- 방법론적 문제 -시청시간에 따라 시청자를 구분하는 문제 -제3의 변인에 대한 통제 문제 -종속변인의 처리 문제
- TV 내용이 모두 동질적이라고 가정함
- TV 중시청자에게 초점을 맞춤
- TV만큼 많이 이용하지 않는 미디어에는 적용하기 어려움
1) 계발이론
거브너의 주류화와 공명
▶배양효과가 실제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나타나는가?
주류화(mainstreaming):TV가 계발시키는 경향이 있는 모습의 상대적 공통성
-TV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사람들의 생각이 획일적이지 않았으나, TV와 같은 대중 매체가 비슷비슷한 내용을 유사한 이미지로 거듭 보여주면서 획일적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는 것
1) 계발이론
거브너의 주류화와 공명
▶배양효과가 실제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나타나는가?
주류화(mainstreaming)
TV의 3B(Blurring(흐림), Blending(혼합), Bending(왜곡)) 과정을 통해 일어남
-중시청자들은 경계의 흐림, 혼합, 왜곡 과정을 거쳐 TV의 세계를 실세계인 양 받아들임
예) TV는 중산층을 찬양하고 중시청자들을 자신들의 수입과 상관없이 스스로를 중산층으로 인식하게 만듦
▶세상에 대한 사람들의 관점의 차이를 흐리게 만듦
-TV는 실제 세계의 다양성을 TV에서 보이는 주류와 혼합시켜 버리며, 그로부터 현실을 왜곡시키도록 만듦
▶중시청자들을 통해 사회 각 집단의 세계관이 하나로 수렴되는 현상이 나타남
1) 계발이론
거브너의 주류화와 공명
▶배양효과가 실제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나타나는가?
공명(resonance)
- TV에서 보던 것들이 실세게에서 동일하게 일어났을 때 TV 매체의 영향력, 즉 계발 효과는 더욱 커진다는 것
- TV 세계와 실제 생활환경이 일치되면서 공명효과를 가져옴으로써 증폭된 배양 형태로 나타나는 것
- TV를 통해 두 번 경험하는 것
-누구나 한 번은 물리적 폭력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데, 실제 그 경험이 나쁘지 않았더라도 TV 화면에서 반복되는 상징적 묘사가 시청자들의 마음속에서 실제 경험을 되풀이하도록 함
▶TV의 '배양효과'가 특정 집단에 편중되어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을 설명해 주는 근거라고 할 수 있음
'교육·학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 효과와 구체적 이론 (4) 사회학습이론 (0) | 2023.06.13 |
---|---|
미디어 효과의 구체적 이론 (3) 제 3자 효과 (0) | 2023.06.12 |
미디어 효과의 구체적 이론 (2) 침묵의 나선이론 (0) | 2023.06.11 |
의제설정이론(agenda-setting theory) (0) | 2023.06.09 |
이용과 충족이론(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4) | 2023.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