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문

이용과 충족이론(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2)

by 김판우 2023. 6. 15.
반응형

4) 매스미디어의 활용

행위(activity)

사전노출행위

  • 미디어 이용의 준비 단계
  • 어떤 채널을 선택할 것인지 마음속으로 생각하거나, 신문을 보거나, TV가이드를 읽거나 하는 등의 준비행위

진행노출행위

  • 미디어 내용에 대한 사람들의 관여 정도
  • 미디어를 이용하는 동안의 동시적 행위

4) 매스미디어의 활용

행위(activity)

▶TV뉴스의 선택 행위

의도적 행위(intentionality - 뉴스 시청의 계획 정도

선택적 행위(selectivity) - 내용의 의도적 선택 정도

관여적 행위(involvement) - 미디어 내용에 대해 생각하는 정도


4) 매스미디어의 활용

이용(uses)
'특정' 미디어(신문, 방송, 인터넷 등)나 '특정' 채널을 선택하는 행위
  ↙특정미디어↘
 
신문 방송 인터넷
  ↙특정채널↘
 
채널A 채널B 채널C

4) 매스미디어의 활용

충족(gratification)
  • 미디어 이용을 통해 원래 가졌던 욕구가 얼마나 충족되었는가의 정도
  • 수많은 이용과 충족 연구들
미디어에 대한 충족 추구
(gratifications sought)↘
미디어로부터 얻은 충족
↙(gratifications obtained)
추출
매스미디어의 기능과 효과를 설명하고 있음

4) 매스미디어의 활용

미디어-개인 상호작용의 유형
기분전환 일상적 일과 문제들로부터 도피, 정서적 휴식
대인관계 대화할 때 정보의 사회적 유용성, 친구관계를 대신하는 미디어
개인의 정체성 혹은 개인심리 예) 가치 재강화, 자기이해, 현실탐구 등
감독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거나, 무엇을 하도록 도와주고 성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5) 장점과 단점

장점

  • 매스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관심의 초점을 개인에게 두었음
  • 미디어 소비자의 지적 능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음
  • 사람들이 미디어 내용을 어떻게 경험하는가에 대한 통찰력 있는 분석을 제공하고 있음
  • 미디어의 능동적 이용을 수동적 이용과 차별화하였음
  • 미디어의 이용을 일상적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으로서 연구하였음
  • 뉴미디어의 채택에 대해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음

단점

  • 기능적 분석에 대한 의존은 현상유지적 관점을 낳음
  • 효과의 존재나 부재를 쉽게 나타낼 수 없음
  • 중요한 개념의 측정에 문제가 있음
  • 미시적 수준의 이론임

6) 개인의 욕구와 미디어 이용의 분류

Perse & Courtright(1993년)의 11가지 기본적 심리요구에 관한 리스트
  1. 휴식을 위하여
  2. 오락을 위하여
  3. 업무나 그 밖의 다른 일을 잊기 위하여
  4. 친구와의 관계를 위하여
  5.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일을 알기 위하여
  6. 시간을 보내기 위하여(특히 따분할 때)
  7. 자극을 느끼기 위하여
  8. 외로움을 덜 느끼기 위하여
  9. 습관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10. 내가 다른 사람의 감정에 주의를 기울인다는 점을 알도록 하기 위하여
  11. 다른 사람이 나를 위한 일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7) 연구 방향

지향성 연구(Alan M. Rubin, 1984년)

관습적 지향(ritualistic orientation)

도구적 지향(instrumental orientation)

기대가치 모델(expectancy-value model)
  • 피시바인과 에이전(M.fishbein & Ajen, 1975년)
    -인간은 자신에게 유용한 정보를 합리적인 방법으로 이용하는 존재라고 정의
    -개인의 미디어 행동은 결과에 대한 가능성과 가치에 의해 달라진다고 주장
  • 베이브로(Babrow, 1987년)
    -기대를 텔레비전 노출행위와 관련해서 지각하고 있는 결과(긍정적 또는 부정적)라고 정의
뉴미디어의 이용과 충족 연구

전통적 미디어 이용 ←동기는 유사함→뉴미디어 이용

=인터넷 수용자 역시 도피, 오락, 상호작용, 환경감시 등임


8) 이용과 충족이론에 대한 비판

  • 비이론적이다
  • 주요 개념(동기)이 모호하다
  • 기본적으로는 자료 수집 방법 이상의 특별한 것이 아니다
  • 사람들이 미디어 사용을 통해 채우고자 하는 욕구
그들이 왜 미디어를 사용하는가?:욕구가 미디어에 의해 창조된 것이 아닌지, 혹은 미디어 이용의 합리화를 위한 것이 아닌지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함

조작적 정의와 분석모델에 의한 비판

  • 혼동과 내적 일관성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함
  • 제시된 모델에 대한 이론적 타당이 부족하고, 논의가 연구결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이론적 토대를 받쳐주지 못함
  • 너무나 협소하게 개인에만 초점을 두었음

미디어 헤게모니 연구자들에 의한 비판

  • 사람들이 미디어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그들이 원하는 대로 해석하며, 또한 이를 지나치게 강조함
  • 최종적으로 매스 커뮤니케이션 노출에 관한 몇몇 연구결과는 이용과 충족이론의 기본 가정과는 달리, 수용자들이 항상 사려 깊지 않고 의도적이지도 않음을 보여줌

텔레비전 시청에 관한 폭넓은 연구 결과

  • 능동적 수용자 개념이 텔레비전 시청에 적용될 때 잘못 사용될 수 있다고 지적함
    -사람들은 수동적으로, 휴식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집중하지 않을 때, 텔레비전을 경험하고 있음을 일관되게 보고하고 있다고 밝혔음
    ≫연구자들은 인쇄매체와 비교하여 텔레비전과 영화는 그림 같은 생생한 속성 때문에 수용자에게 좀 더 일률적인 인지적·감정적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고 주장함
    →일률적 효과는 이용과 충족 연구가 예상한 바가 아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