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4) 매스미디어의 활용
행위(activity)
사전노출행위
- 미디어 이용의 준비 단계
- 어떤 채널을 선택할 것인지 마음속으로 생각하거나, 신문을 보거나, TV가이드를 읽거나 하는 등의 준비행위
진행노출행위
- 미디어 내용에 대한 사람들의 관여 정도
- 미디어를 이용하는 동안의 동시적 행위
4) 매스미디어의 활용
행위(activity)
▶TV뉴스의 선택 행위
의도적 행위(intentionality - 뉴스 시청의 계획 정도
선택적 행위(selectivity) - 내용의 의도적 선택 정도
관여적 행위(involvement) - 미디어 내용에 대해 생각하는 정도
4) 매스미디어의 활용
이용(uses)
'특정' 미디어(신문, 방송, 인터넷 등)나 '특정' 채널을 선택하는 행위
↙특정미디어↘ ↓ |
||
신문 | 방송 | 인터넷 |
↙특정채널↘ ↓ |
||
채널A | 채널B | 채널C |
4) 매스미디어의 활용
충족(gratification)
- 미디어 이용을 통해 원래 가졌던 욕구가 얼마나 충족되었는가의 정도
- 수많은 이용과 충족 연구들
미디어에 대한 충족 추구 (gratifications sought)↘ |
미디어로부터 얻은 충족 ↙(gratifications obtained) |
추출 ↓ |
|
매스미디어의 기능과 효과를 설명하고 있음 |
4) 매스미디어의 활용
미디어-개인 상호작용의 유형
기분전환 | 일상적 일과 문제들로부터 도피, 정서적 휴식 |
대인관계 | 대화할 때 정보의 사회적 유용성, 친구관계를 대신하는 미디어 |
개인의 정체성 혹은 개인심리 | 예) 가치 재강화, 자기이해, 현실탐구 등 |
감독 |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거나, 무엇을 하도록 도와주고 성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
5) 장점과 단점
장점
- 매스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관심의 초점을 개인에게 두었음
- 미디어 소비자의 지적 능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음
- 사람들이 미디어 내용을 어떻게 경험하는가에 대한 통찰력 있는 분석을 제공하고 있음
- 미디어의 능동적 이용을 수동적 이용과 차별화하였음
- 미디어의 이용을 일상적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으로서 연구하였음
- 뉴미디어의 채택에 대해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음
단점
- 기능적 분석에 대한 의존은 현상유지적 관점을 낳음
- 효과의 존재나 부재를 쉽게 나타낼 수 없음
- 중요한 개념의 측정에 문제가 있음
- 미시적 수준의 이론임
6) 개인의 욕구와 미디어 이용의 분류
Perse & Courtright(1993년)의 11가지 기본적 심리요구에 관한 리스트
- 휴식을 위하여
- 오락을 위하여
- 업무나 그 밖의 다른 일을 잊기 위하여
- 친구와의 관계를 위하여
-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일을 알기 위하여
- 시간을 보내기 위하여(특히 따분할 때)
- 자극을 느끼기 위하여
- 외로움을 덜 느끼기 위하여
- 습관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 내가 다른 사람의 감정에 주의를 기울인다는 점을 알도록 하기 위하여
- 다른 사람이 나를 위한 일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7) 연구 방향
지향성 연구(Alan M. Rubin, 1984년)
관습적 지향(ritualistic orientation)
도구적 지향(instrumental orientation)
기대가치 모델(expectancy-value model)
- 피시바인과 에이전(M.fishbein & Ajen, 1975년)
-인간은 자신에게 유용한 정보를 합리적인 방법으로 이용하는 존재라고 정의
-개인의 미디어 행동은 결과에 대한 가능성과 가치에 의해 달라진다고 주장 - 베이브로(Babrow, 1987년)
-기대를 텔레비전 노출행위와 관련해서 지각하고 있는 결과(긍정적 또는 부정적)라고 정의
뉴미디어의 이용과 충족 연구
전통적 미디어 이용 ←동기는 유사함→뉴미디어 이용
=인터넷 수용자 역시 도피, 오락, 상호작용, 환경감시 등임
8) 이용과 충족이론에 대한 비판
- 비이론적이다
- 주요 개념(동기)이 모호하다
- 기본적으로는 자료 수집 방법 이상의 특별한 것이 아니다
- 사람들이 미디어 사용을 통해 채우고자 하는 욕구
그들이 왜 미디어를 사용하는가?:욕구가 미디어에 의해 창조된 것이 아닌지, 혹은 미디어 이용의 합리화를 위한 것이 아닌지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함
조작적 정의와 분석모델에 의한 비판
- 혼동과 내적 일관성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함
- 제시된 모델에 대한 이론적 타당이 부족하고, 논의가 연구결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이론적 토대를 받쳐주지 못함
- 너무나 협소하게 개인에만 초점을 두었음
미디어 헤게모니 연구자들에 의한 비판
- 사람들이 미디어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그들이 원하는 대로 해석하며, 또한 이를 지나치게 강조함
- 최종적으로 매스 커뮤니케이션 노출에 관한 몇몇 연구결과는 이용과 충족이론의 기본 가정과는 달리, 수용자들이 항상 사려 깊지 않고 의도적이지도 않음을 보여줌
텔레비전 시청에 관한 폭넓은 연구 결과
- 능동적 수용자 개념이 텔레비전 시청에 적용될 때 잘못 사용될 수 있다고 지적함
-사람들은 수동적으로, 휴식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집중하지 않을 때, 텔레비전을 경험하고 있음을 일관되게 보고하고 있다고 밝혔음
≫연구자들은 인쇄매체와 비교하여 텔레비전과 영화는 그림 같은 생생한 속성 때문에 수용자에게 좀 더 일률적인 인지적·감정적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고 주장함
→일률적 효과는 이용과 충족 연구가 예상한 바가 아님
반응형
'교육·학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제설정이론(agenda-setting theory) (2) (0) | 2023.06.17 |
---|---|
이용과 충족이론(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3) (0) | 2023.06.16 |
미디어 효과의 구체적 이론 (5) 미디어 틀 짓기 이론 (0) | 2023.06.14 |
미디어 효과와 구체적 이론 (4) 사회학습이론 (0) | 2023.06.13 |
미디어 효과의 구체적 이론 (3) 제 3자 효과 (0) | 2023.06.12 |